한국정원4 판상절리와 수직절리가 만든 인격 - 단양 사인암 명승 단양 사인암 명승 – 판상절리와 수직절리가 만든 인격 사군산수(四郡山水)라는 버킷리스트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한 번 다녀와야 하는데….”를 연발하였다는 것이다. 영남이나 호남의 사대부에게 ‘사군산수(四郡山水)’ 또는 ‘사군강산(四郡江山)’은 더욱 특별하였다. 탐승지로서의 신비한 풍모를 보고 싶어 한시바삐 나서고 싶었던 곳이다. 사군(四郡)은 제천, 청풍, 단양, 영춘을 말한다. 서로 인접하여 대부분 암벽 산으로 이루어진 궁벽한 곳이어서 함부로 찾아들기도 쉽지 않았던 시절이다. 암벽 산 주변으로 남한강의 비경이 곳곳에서 넘실댄다. 암벽에서 뿜어 나오는 화기(火氣)를 강물의 수기(水氣)가 휘감아 품어 아늑한 풍광을 만든다. 기어코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이 475년 전(1548, 명종 3), .. 정원탐구/시경詩境-한국정원문화 2024. 2. 18. 한국 정원 문화의 키워드 탐방(003) - 임천한흥(林川閑興) 고산 윤선도의 시조 '만흥'에 드러나는 '임천한흥林川閑興'과 한국 정원 문화 한국정원문화를 대표하는 고산 윤선도의 시조 '만흥'은 산속 원림에서 느끼는 시인의 흥취를 담는다. 이 작품에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林川閑興(임천한흥)"이라는 단어이다. '임천한흥'은 산속 계곡의 한가로운 정취를 의미하며, 이는 한국 전통 정원의 핵심 가치를 잘 드러내는 개념이다. 윤선도의 시조 '만흥'에 드러나는 '임천한흥'을 키워드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한국 전통 정원의 원림 문화, 경관, 풍광을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문장으로 살펴본다. 한국 전통 정원의 숨결, '임천한흥' 고산 윤선도의 시조 "만흥"에 담긴 '임천한흥'은 한국 전통 정원의 핵심 가치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단어이다. 이는 단순히 산 속 계곡의 한가로운 정취.. 프로젝트/콘텐츠생산자 2024. 2. 15. 한국 정원 문화의 키워드 탐방(001) - 육령毓靈 한국 정원 문화의 영혼: 육령毓靈을 통한 풍광, 풍경, 경관 분석 1. 들어가는 말 한국 정원은 단순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공간을 넘어, 육령毓靈이라는 개념을 통해 영혼을 육성하고 내면의 평화를 찾는 장소로 여겨져 왔다. 육령毓靈은 "영혼을 육성하다" 또는 "영기를 기르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어이며, 한국 정원 문화의 핵심 가치를 담고 있다. 육령毓靈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춰 한국 정원의 풍광, 풍경, 경관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정원 문화의 독특한 특징을 알아본다. 2. 육령毓靈의 개념 및 의의 육령毓靈은 한국 정원 문화의 핵심 가치로서, 자연과의 조화, 내면의 성찰, 영혼의 육성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조성하는 것을 넘어, 정원을 통해 인간의 정신적 성장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프로젝트/콘텐츠생산자 2024. 2. 12. 원림이라는 용어가 자연스럽게 착 달라붙는다 - 함안 무진정 원림 함안 무진정 원림 – 원림이라는 용어가 자연스럽게 착 달라붙는다 탐승의 기쁨은 상상이 구체가 되어 감흥이 도도해질 때이다 함안은 처음이다. 최근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말이산고분군’에 오르면 함안이 잘 보인다. 고분군이 분지를 이룬다. 말이산고분군에서 북쪽 남강을 향하면 함안의 시내가 한눈에 보인다. 지긋이 세상살이 속세의 곡진함을 내려볼 수 있다. 고분군 남쪽으로 함안 성산산성이 있는 ‘조남산’이 있고, 조남산에서 함안천쪽으로 ‘무진정원림(無盡亭苑林)’이 위치한다. ‘말이산고분군’의 중간 지점인 ‘함안박물관’에서 무진정 원림까지의 직선거리는 2.4㎞이다. 사실 ‘무기연당’ 답사에 ‘고려동 유적지’와 ‘말이산고분군’을 탐승지로 더하였을 뿐이다. 그 와중에 무진정 근처 국밥집을 들리자는 제안은 있.. 정원탐구/시경詩境-한국정원문화 2024. 1. 28. 이전 1 다음